상담 문의
상속 플랜을 통해 상속세 절세 설계하는 방법

2025. 2. 13. 06:58상속세 증여세

 

상속세 절세 실패 사례

중견기업을 경영하던 A 씨가 심장마비로 갑자기 사망했습니다. 

그의 상속 재산은 약 3천억 원에 달했고, 상속인은 배우자와 자녀 3명이었습니다. 

하지만 상속세 계획이 전혀 없었던 탓에 1,500억 원의 상속세가 부과되었습니다. 

 

상속세 중 700억 원이 납부되지 못해 국세청은 부동산을 압류하여 공매에 부쳤고, 

이후 양도소득세까지 추가로 부과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처럼 상속세 계획이 없으면 재산의 3분의 2가 세금으로 소진되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세 절세를 위해서는 미리 텍스 플래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상속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상속 재산이 클수록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자산의 상당 부분이 세금으로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절세의 지름길로 여겨지는 텍스 플래닝에 대해 사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속 플랜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

 

(1) 상속 재산의 종류와 규모

상속 재산은 부동산, 주식, 예금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들 자산은 평가 방법이 다르므로 적절한 사전 계획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자산 구조 조정이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피상속인의 연령과 건강 상태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남성 81세, 여성 87세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수명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속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3) 상속인의 상황 분석

상속인의 직업, 재산 상태, 상속인 간의 관계 등을 분석해야 합니다. 

특정 상속인에게 재산을 몰아줄 경우 유류분 반환 청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쟁 가능성도 사전에 검토해야 합니다. 

혼외자가 있는 경우라면 이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합니다.

(4) 경영권 승계 의지

피상속인이 기업을 운영 중이라면 경영권 승계 계획도 중요합니다. 

자녀가 경영권을 이어받을 것인지, 

경영권을 외부에 넘길 것인지에 따라 

사전 증여나 상속세 절세 방안이 달라집니다.

(5) 사전 증여의 필요성

재산이 큰 경우 사전 증여를 통해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비거주 빌딩 소유자나 다주택자의 경우 사전 증여를 적극 검토해야 합니다. 

다만, 10년 내 증여 재산은 상속 재산에 합산되므로 증여 시점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6) 배우자와의 증여 계획

배우자에게 증여한 재산은 향후 상속공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상속 공제액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7) 가업 승계 준비

가업 승계를 고려하는 경우 상속인이 가업에 얼마나 참여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승계 계획이 없다면 가업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8) 납세 자금 대책 마련

납세 자금이 부족하면 상속 재산이 공매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속세 납부를 위한 종신보험 가입, 사전 증여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상속인이 선택할 수 있는 연부연납이나 물납 제도도 사전에 검토해야 합니다.

 

 

상속 플랜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수정이 가능합니다.

 

상속 재산의 변동, 세법 개정, 피상속인의 의향 변화 등에 따라 계획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속 플랜을 단기적 목표가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