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 06:06ㆍ상속세 증여세
상속세 세무조사는 상속세를 신고한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진행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상속 재산이 클 경우에만 조사 대상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상속세의 확정 절차상, 신고한 모든 사람이 세무조사를 받게 되며
조사 방식은 재산 규모와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세무조사의 이유, 절차, 주요 검토 사항, 그리고 실제 사례와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드겠습니다.
상속세 세무조사
상속세 세무조사는 상속세 신고 내역이 적정한지 검토하고,
누락된 재산이나 잘못 신고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진행됩니다.
상속세는 납세자가 자진 신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세청이 최종 세액을 확정하는 세목입니다.
따라서 신고 내용이 정확한지 확인하는 조사가 필요합니다.
다만 모든 신고자가 동일한 조사를 받는 것은 아니며,
재산 규모와 신고 내용에 따라 조사 방식이 달라집니다.
상속세 세무조사의 종류와 절차
간이 서면 조사
일정 재산 규모 미만의 경우 서면 조사를 통해 간단히 신고 내용 검토가 이루어집니다.
추가 자료 제출 요구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고 내용이 확정됩니다.
심층 세무조사
상속 재산 규모가 50억 원 이상이거나 소명 자료 부족 시 심층 조사가 진행됩니다.
지방국세청에서 직접 진행하며, 상속 재산 및 소득 흐름을 전반적으로 검토합니다.
조사 시점
신고 후 4개월에서 1년 이내에 이루어지며, 이 기간 동안 신고자들은 관련 자료를 철저히 보관해야 합니다.
상속세 세무조사 시 주요 검토 사항
누락 재산 검토
10년 치 금융 거래 검토하여,
가족간 계좌이체, 현금인출, 변칙적인 거래를 통해 증여가 있었는지 확인하며
주로 피상속인과 상속인 간의 자금 흐름을 검토하여 사전 증여 여부를 파악합니다.
상속 개시 2년 전 재산 처분 확인
해당 기간에 처분된 재산은 상속 재산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현금 인출 및 부동산 처분 내역은 집중 검토 대상입니다.
부동산 평가
아파트처럼 시가가 명확한 재산은 문제가 없으나,
꼬마 빌딩이나 상가 등 시가 산정이 어려운 재산은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 과정에서 국세청은 감정평가를 통해 재산 가치를 재산정하고 추가 세액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비상장 법인 주식 평가
시장가가 없는 비상장 주식은 평가 방식에 따라 과세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비상장 법인 주식의 평가에 대해서는 납세자와 국세청 간의 다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국세청이 매매 사례 가액 평가법을 적용했으나, 납세자는 순자산 가치 평가 방식을 주장하며
조세불복 절차가 진행된 사례가 있습니다.
상속세 세무조사는 모든 신고자에게 필수적으로 진행됩니다.
주요 검토 사항은 누락 재산 확인과 재산 평가 적정성 검토입니다.
만약, 세무조사를 통해 세금이 추가로 부과될 경우, 상속인들은 조세불복 절차를 통해
억울한 과세 처분에 이의 제기가 가능합니다
상속세 신고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언제든 연락주세요.
'상속세 증여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장주식 가치 평가 방법 (0) | 2025.02.11 |
---|---|
주식 상속세 - 사망일 전후 2개월간 평균금액으로 평가됩니다 (0) | 2025.02.09 |
상속세 연대납부 의무 - 세금을 대신 납부한다고? (0) | 2025.01.30 |
상속세 가산세 - 신고기한은 놓친 경우 (0) | 2025.01.29 |
재산 30억 상속세, 배우자공제를 활용하면 세금 얼마나 나올까? (0) | 2025.01.28 |